경제

재미로 보는 PIR 지수

HI-YOYO 2023. 10. 1. 16:40
반응형

 

사람들은 무언가를 숫자로 나타내는 걸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몇 달 전 세르비아 기업이 운영하는 넘베오(Numbeo)라는 데이터 베이스 사이트에서 PIR이라는 것을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한국은행이 PIR 지수를 인용해 뭇매를 맞은 적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PIR 지수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 지수를 믿을 수 있는지에 대해 한번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PIR 지수란

PIR(Price Income Rate) 소득대비 주택가격지수 비율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득대비 주택가격지수라는 말이 조금 어렵게 느껴지지만 풀어서 설명하면

한 가구의 세후 소득(실소득)을 얼마나 모으면 집을 살 수 있는지를 숫자로 표시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PIR 지수 믿을 수 있나?

PIR 지수를 믿을수 있는지 없는지는 아래 2가지를 생각해 봐야 합니다.

1. 세후 소득(실소득)의 기준은 무엇인가? 

2. 구매하는 집의 기준은 무엇인가?

 

1번에 대해 이야기해보면 넘베오에서 기준을 잡은 세후 소득은 해당 국가의 일반적인 한 가구의 실소득을 기준으로 하고 있지만 저축을 하는 퍼센트에 문제가 있습니다. 

예로 한 가정이 월 500만원을 번다고 한다면 식비, 교육비 등 생활비 면에서 200~300 만원은 필수적으로 소비할 것입니다.

하지만 넘베오에서 잡은 실소득은 500만 원을 벌어 500만 원을 저축한다는 기준을 잡고 있습니다.

즉 돈을 벌어서 한 푼도 쓰지 않고 저축한다면?이라는 말이죠

 

2번 구매하는 집의 기준은 27평(90㎡) 아파트구입을 가정하고 있어 비현실 적이지는 않지만 해당 국가의 수도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또한 대한민국 평균이 아닌 서울이라는 특정 지역을 기준으로 잡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PIR 지수의 중요한 2가지 요소 모두 한 나라의 기준으로 삼기에는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넘베오라는 사이트 또한 국가가 공인한 사이트가 아닌 우리나라 나무위키, 위키백과 같은 누구나 수정이 가능한 정보 사이트라는 점 또한 PIR 지수의 신빙성을 떨어트리기도 합니다.

 

이러한 이유에도 불구하고 한국은행에서 PIR 지수를 인용하여 우리나라 집값이 비싸다는 등의 보도를 내어 뭇매를 맞았던 것입니다.

 

몇 년 모아야 집을 살 수 있나요?

넘베오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26년동안 연소득 6,800만원 모두 저축한다면 서울 27평(90㎡)  아파트를 살수 있다고 합니다.

 

국가별로 비교해 본 PIR

신빙성이 떨어지긴 하지만 여러 국가와 비교한 한국의 PIR 지수는 어떻게 될까요?

 

소득 대비 PIR 상위권 국가

순위 국가 PIR GNI / 달러 / 2021 기준
1 시리아 86.7 4,077
2 가나 78.6 5,750
3 홍콩 44.9 70,840
4 스리랑카 40.8 14,290
5 중국 34.6 19,310
6 네팔 32.8 4,280
7 캄보디아 32.5 4,560
8 필리핀 30.1 9,250
9 나이지리아 28.2 5,220
10 에티오피아 26.4 2,550
11 대한민국 26 50,730

소득 대비 PIR 지수 상위권 국가로는 1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1~10위를 차지하는 국가별 GNI 지수(국민이 1년 동안 생산활동에 참여해 받은 소득의 합계)가 제각각 이기 때문에 이 자료를 바탕으로 집값이 비싼지 싼 지에 대해 이야기하기는 어렵습니다. 

 

구매력 평가 환율 기준 1 인동 국민총소득 GNI

국민총소득(GNI)이 비슷한 국가별 비교

순번 국가 PIR GNI / 달러 / 2021 기준
1 영국 8.3 49,980
2 뉴질랜드 9.0 47,140
3 한국 26 50,730
4 이탈리아 9.7 47,590
5 일본 10.3 44,910

우리나라와 국민총소득(GNI)이 비슷한 국가별로 PIR을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는 1위를 하고 있습니다.

소득이 비슷한 국가별로 보았을 때 우리나라의 집값이 비싸다 할 수 있습니다.

 

GNI 세계은행 참조 : https://www.worldbank.org/en/home

 

World Bank Group - International Development, Poverty, & Sustainability

With 189 member countries, the World Bank Group is a unique global partnership fighting poverty worldwide through sustainable solutions.

www.worldbank.org

 

마치며

LTV, DSR, DTI, GDP, GNI 등 여러 가지 지수처럼 PIR이라는 지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세르비아 기업이 운영하는 넘베오라는 사이트에서 만든 자료이고 앞에서 말한 2가지 기준의 오류가 있기 때문에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서울 27평(90㎡) 15억, 기혼 가구 연소득 50,730달러 (6,800만 원)는 현재 대한민국의 상황과 비슷합니다.

 

연소득의 100% 저축이 아니라 50%로 잡고, 대한민국 평균이 아니라 서울 평균이라는 점이 추가된다면 PIR지수 또한 조금은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해 봅니다.

 

대신 PIR 26이 아닌 52가 되겠죠?

 

PIR 지수가 신빙성이 떨어지긴 하지만 이 지수를 통해 우리가 생각해봐야 할 점은 있습니다.

결국 서울 집값은 우리가 열심히 노동을 통해 얻는 소득으로는 진입하기 힘들다는 점이죠

 

이 글을 읽으신 분들 중 서울에 살고 싶다고 생각하고 계신 분들이 있다면 노동소득 이외의 소득 그리고 소득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생각을 해야 된다는 경각심과 노력을 해야 된다는 말을 전달하고 싶습니다.

반응형